인간은 사회속에서 타인과 다양한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으며, 여러 사람들과의 교류와 협동으로 생활한다. 예란 자기의 어진 본 마음을 솟아나게 하는 것이다. 본마음을 찾으면 서로 사양하는 마음이 솟아나고, |
존중하고 경애하는 마음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지사지(易地思之)할 줄도 알고,
어렵고 힘든 일을 서로 돕는 상부상조(相扶相助)의 아름다운 생활을 하게 된다.
예절의 정신과 형식은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익혀야 한다.
존경과 경애의 정신을 소홀히 하면 허례에 빠지거나 위선적 행동을 하게 되며,
예의와 범절이라는 형식을 소홀히 하면 자기의 잘못된 생각이 아무 제약 없이 무례한 행동으로 이어지게 된다.
사람과 사람의 교류와 접촉에는 반드시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
이것을 동양에서는 "예"라고 하며, 서양에서는 '에티켓(etiquette)' 또는 '매너(manner)'라고 한다.
현대는 세계화 시대이므로, 서양 예절(에티켓)도 국제시대에 적응하기 위해서 배워야 한다.
서양 사람들은 공중도덕에 대한 질서의식을 어릴 때부터 교육시키며,
상대방에게 호감을 주도록 노력한다.
우리 예절과 마찬가지로 모든 예의 범절의 바탕은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것이다.
실천 방법
예절은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알고 있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예절을 몰라서 지키지 못한 것은 용서받을 수 있지만,
알고도 지키지 못한 것은 모르는 것만도 못하다.
1. 자기 관리를 철저히 한다.
2. 대인 관계를 원만히 한다.
3. 공중 질서를 지킨다.
4. 내 몸 아끼듯 남을 아끼고 배려한다.
5. 자기가 한 말에는 책임을 져야 한다.
6. 잘못이 있으면 상대에게 사과를 하고 용서를 구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