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트 발차기 형식 중의 하나로 중고일반부 수련생에게 종종 지도하는 훈련 방식이다. 많은 인원이 하는 미트 발차기의 경우 미트를 올바로 잡아 줄 수 있는 인원도 필요하기 때문에 주로 초등부 고학년이나 중·고·일반부에 적용시키고 있다.
일렬 미트 발차기가 스피드를 이용한 단순 연결 발차기라면, 지그재그 미트 발차기의 경우 다양한 스텝과 발차기의 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두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간적 여유가 주어진다면 숙련도를 높이기 위해 1세트를 다섯 바퀴 정도 반복하면서 차는 것이 좋다고 여긴다. 대신 매 순환마다 다양한 스텝을 이용하여 다음 목표물(타깃, 미트)로 이동해본다.
1. 제자리 스텝 후 끌어차기
2. 두발 동시 전진 스텝 + 뒷발, 앞발
3. 일보 전진 스텝 + 뒷발, 앞발
4. 깊숙한 전진 스텝으로 바짝 붙었다가 빠지면서
등등
미트를 잡는 사람들은 사선으로 서서 (대기 줄을 바라보는 방향) 발차기를 하며 들어오는 사람을 바라보고 서야 한다.
초반부에는 앞차기, 돌려차기, 내려차기 등 하나의 발차기 위주로 이동하면서 차지만, 어느 정도 이동이 숙달되면 발차기를 다양하게 조합하는 것이 좋다.
각 포인트(미트)마다 다른 발차기를 적용해 보는 것이다.
1번 미트 - 앞차기
2번 미트 - 돌려차기
3번 미트 - 내려차기
등등
앞서도 말했듯이 미트와 미트 사이를 이동할 때는 걸어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텝까지 조합하여 이동하도록 지도하면 이 훈련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많은 훈련을 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